본문 바로가기
Statistics

적률생성함수 (Moment Generating Function)

by 함승우 2022. 1. 20.

적률생성함수에서 '적률'은 '積率'으로 '쌓을 적'과 '비율 률'을 씁니다. 영어로는 moment라고 합니다. 개인적으로 한자와 영어 둘다 적률의 수학적 의미와 직관적으로 연결되지는 않는 것 같습니다. 적률은 '확률 분포의 위치나 모양을 나타내는 기댓값'입니다. 확률 분포에 대한 설명이 담겨있는 값으로 풀어서 이야기 할 수 있습니다. 분포의 평균이나 분산 같은 정보를 담고 있는 것이 moment라고 생각하시면 되겠습니다. 이 moment를 생성하는 함수가 moment generating function입니다.

 

적률생성함수에 대해 알아보기 위해 확률변수의 기댓값을 먼저 확인해봅시다. 확률변수 $X$와 $X^2$의 기댓값은 다음과 같이 정의됩니다.

$$\begin{align*}
&E[X] = \int_{-\infty}^{\infty}x P_X  (x)dx \\
&E[X^2] = \int_{-\infty}^{\infty}x^2 P_X  (x)dx \\
\end{align*}$$

 

이러한 $E[X]$이나 $E[X^2]$을 매번 적분하지 않고 쉽게 구할 수 없을까요? 보통 적분보다는 미분이 간편하니 미분으로 구할 방법이 없나 생각해봅시다. 이때 적률생성함수가 등장합니다.

 

적률생성함수 $M(t)$는 확률 분포 $P_{X}(x)$에 대하여

$$M_{X}(t)= E[e^{tX}]= \int_{-\infty}^{\infty}e^{tx}P_{X}(x)dx$$

의 식으로 정의 되는데, 위의 식에서 자연상수 부분을 풀어쓰면 아래와 같습니다.

$$M_{X}(t)= E[e^{tX}]=E[1+tX+\frac{t^2X^2}{2!}+\cdots ]$$

여기까지 보고 나면 직관적으로 이해가 되실 겁니다.

$$\begin{align*}
&\bigg[\frac{d}{dt}M(t)\bigg]_{t=0}=\bigg[ E[X]+tE[X^2]+\frac{t^2}{2!}E[X^3]+\cdots\bigg]_{t=0} = E[X] \\
&\bigg[\frac{d^2}{dt^2}M(t)\bigg]_{t=0}=\bigg[ E[X^2]+tE[X^3]+\frac{t^2}{2!}E[X^4]+\cdots\bigg]_{t=0} = E[X^2] \\
&\qquad\qquad\qquad\vdots \\
&\bigg[\frac{d^k}{dt^k}M(t)\bigg]_{t=0}=E[X^k] \\
\end{align*}$$

가 성립합니다.

 

이때 $\bigg[\frac{d^k}{dt^k}M(t)\bigg]_{t=0}=E[X^k]$를 $P_{X}(x)$의 $k$차 적률(moment)이라 부르고, 이는 $P$가 확률변수 $X$의 분포를 나타낼 때,

$$E(X^{k})\qquad (k=0, 1, 2,;\cdots)$$

와 같습니다. 이러한 뜻에서 $M(t)$를 $P_X$의 적률생성함수 (moment generating function)라고 부릅니다.

 

한 가지 예시로 Gaussian distribution의 적률생성함수를 살펴봅시다. Gaussian distribution의 적률생성함수는 $M_X(t)=e^{t\mu+\frac{1}{2}\sigma^2t^2}$입니다. 1차 적률이 $E[X]$를 만족하는지 확인해봅시다.

 

$$\bigg[\frac{d}{dt}M(t)\bigg]_{t=0}=\bigg[\mu e^{t\mu}e^{\frac{1}{2}\sigma^2 t^2}+e^{t\mu}\sigma^2 t e^{\frac{1}{2}\sigma^2 t^2}\bigg]_{t=0}=\mu$$

 

성립함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출처

  • 김우철. 수리통계학 = Mathematical Statistics / 김우철 지음, 2012.
  • https://www.youtube.com/watch?v=wjwLTNYOuI4